본문 바로가기
생활속 정보

[지역주택조합의 위험성] 싸다고 해서 전재산 걸었는데 이제 땅을 치고 후회합니다. (구해줘월부 부동산상담)

by Bhappy_ 2022. 1. 9.
728x90

https://youtu.be/gqLTq-Nw4oQ


1.
금융 공부의 중요성

돈 공부, 재테크


2.
지역주택조합 : 셀프 조합
지구단위계획 - 교통건축심의 - 조합설립인가 - 사업계획승인 - 착공

사업계획승인 토지 소유자의 95% 이상 승인
(어려운 사업 시스템, 50명 중 2~3명 X - 사업진행 X)

사업 지연시 - 추가분담금, 분양사무소 영업 형태


3.
주변 지주택 출신 아파트 사업계획 승인이 있고 착공까지 기간을 보면 판단을 할 수 있다.


4.
감정적으로 대처하지 말 것.


냉정하게 계산적으로 대처할 것.


5.
의식적으로 훈련


6.
물리는 것 - 손절

진짜 재미없는 영화
대부분 사람 안나가잖아? 지금까지 본 시간이 아까워서, 나가서 다른 행위를 하는게 낫다.


7.

지주택은 원수에게 추천한다.


8.
일반 분양으로 받거나, 매매로 했으면 지주택으로 마음 고생할 필요있지 않을까?


9.
지주택 리스크 - 언제 될지 모른다.(+@ 추가분담금)


10.
지주택 성공률 높이는 방법

입지가 좋은지?
동의률이 높은지?
조합이 투명하게 진행되는지?


11.
지주택하기전에 그 동네 아파트를 보세요.

2억 싸게 준다고 하는데? 2억이라고 하면 버는 상상을 해요 - 2억을 벌기 위한 숨어있는 리스크를 볼 줄 알아야 해요.



12.
저렴하다고 아무거나 사면 안되요.

시세보다 저렴하다는거 때문에

저평가인지? 다른 리스크가 있는지?


13.
돈에는 감정이 없어요.

단순히 수익만 쫓아가는게 아니라, 그걸 얻기 위해 허들이 무엇인지? 탐색 노력을 해야 되요.


14.
복기

왜? 내가 그때 그 선택을 했는지?

아프지만 꼭 해야 된다. 그 일을, 경험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는








728x90